전공탐색
사회과학자유전공 심리·인지과학학부 [인지학습과학전공]
개요
인지학습과학전공에서는 인지와 학습과학의 이론적 기반 및 실습의 경험을 제공하고 특히 인지과학, 심리학,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토대로 다양한 학습대상을 위한 능률적인 학습전략 및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. 인간의 사고과정이 작동하는 원리, 학습과정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방안, 의사결정을 내리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개입하는 요소 등 학습과 인지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학습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함양한다. 또한 데이터 분석 및 빅데이터 활용 능력을 통해 학습 효과 극대화 및 개인 맞춤형 학습 환경 구축이 가능하며 교육, 인공지능, 빅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학습 모델 개발 경험이 가능하다.
주요 과목 소개
1학년 생각과 학습의 탄생
- 문제 해결 및 창의성 발휘 과정을 탐구하고, 인공지능 발전이 인간 사고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.
2학년 학습심리
- 학습 개념과 다양한 학습 이론을 고찰하여 인간의 행동 및 학습 과정을 이해한다.
3학년 뇌기반 교수학습 전략
- 뇌의 구조와 기능에 기반한 학습 원리를 이해하고, 뇌 발달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교수·학습 전략을 탐색한다.
4학년 학습코칭 및 교육컨설팅
- 효과적인 학습 코칭 단계를 이해하고, 개별 학습자, 교사, 학교, 교육 기관/기업 컨설팅에 적용하는 원리와 실제 능력을 함양한다.
강점소개
- 교육프로그램 개발, 교육기업 데이터 분석, 인지학습 및 인지행동 치료사, 교육 컨설턴트, 이러닝 관련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진로 및 취업이 가능함
- 대학원 진학을 고려할 경우, 필요한 전공지식 관련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
- AI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, 의사결정 능력, 윤리적 판단 능력을 높일 수 있음
소학회
- 교심포럼: 교육문제를 포함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시사문제에 관하여 토론하며 여러 토론 기법과 화술을 습득한다. 또한 다양한 주제와 사회문제들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한다.
- 교육학회: 전공 스터디 및 교육봉사를 통한 전공 역량을 함양한다. 이를 통해 심리·인지과학학부의 각 전공에 대한 자세한 탐구를 할 수 있고, 이론에서 배운 내용을 교육봉사 활동에서 실천하는 기회를 가진다.
교육과정 이수 체계도